세계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FTX에서 고객들의 자금을 사용해 타 기관에 대출 및 투자를 운용한 사실이 발각된 후 FTX에 담보금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고객들의 자금 인출이 몰리자 FTX의 대표인 샘 뱅크 먼(Sam bankman Fried)은 고객들의 출금을 제한시켜 현금을 인출할 수 없게 조치를 취한 후, 현재는 파산신청을 한 상황이며 거래소는 현재 접속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거래소에서 돈을 인출하지 못한 고객들은 사이트에 접속이 불가하자 가지고 있는 코인 형태의 자금이나 현금을 포지션을 변경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 사건이 발생한 후 11월 초에 비트코인의 가격은 21,100 USD에서 15,700 USD까지 26%의 하락이 있었고, 현재는 하락 후 횡보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샘 뱅크 먼(sam bankman Fried)은 법정에 파산신청을 한 상황이고 이에 관련해 추가적인 상세 조사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조사과정에서 추가적인 사항들이 발견되었는데 확실한 정황이 나오기까지는 기간이 더 소요될 예정입니다.
이 사건이 일어난 이후 암호화폐에서는 대량의 btc유출이 일어났고, 거래소에 대해 불신이 생긴 투자자들이 쉽사리 투자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러한 영향인지 비트코인의 가격은 매수세를 동반한 강한 상승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암호화폐의 가격의 나스닥의 영향을 받아 나스닥 상승 시 같이 상승해주는 움직임을 보여왔지만, 현재는 12000포인트까지 상승한 나스닥과는 달리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중국의 부동산 붕괴, 금리인상 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는 많이 위축된 상황이라 쉽게 상승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에 나스닥도 하락 후 반등을 해주었습니다. 현재는 12000포인트에서 저항을 받고 상승세가 약해지며 단기 하락 추세로 바뀌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큰 하락 추세는 현재 진행 중이며, 큰 하락 추세를 뚫어주는 움직임을 보여주지는 못하였습니다. 나스닥의 강한 하락 시 비트코인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금을 보유하거나 투자비중을 줄이는 것이 추가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12월 15일 날 발표된 연준 FOMC 회의에서 0.5% P의 인상한다는 발표가 있었으며, 현재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는 4.5%가 인상된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대출에 대한 이자부담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비의 위축효과로 투자시장 내에 자금 유동성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위축된 시장 상황 속에서 큰 호재거리가 없으면 추가적인 상승의 재료는 소멸되었다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11월 3일 날 발표한 금리인상의 폭 (0.75% P) 보다는 줄은 (0.5% P)인데도 더 강한 매수세가 붙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하락의 폭은 더 강한 하락 추세의 흐름으로 바뀔 수 있으니 현금 확보를 꼭 해놓으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단기적인 상승이 있다고 하더라도 전고점인 21,000 usd를 돌파하기는 매우 힘든 상황이며 바로 하락하거나 단기적인 상승 이후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전자산이 달러를 통해 상황을 추가로 예측해볼 수가 있습니다. 경제가 어렵다 싶으면 보유 중인 자산을 안전자산인 금이나 달러로 자금이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달러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면 미국 중앙은행에서 유동성을 거둬들이고 물가를 잡는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반대로 무너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유동성을 공급되고 사람들이 잘 사는 시기에는 달러의 가격이 떨어집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달러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습니다. 현재 달러의 가격은 급속도로 상승한 후에 상승분을 되돌리는 큰 하락이 있었지만 하락 추세가 점점 완만해지며 다시 상승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가 상승을 하며 비트코인의 자금이 달러로 몰리게 된다면 추가적인 매수세가 붙지 않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의 단기간에 큰 폭의 하락이 나올 수 있으니 현금을 확보해 투자하지 않고 가지고 계시거나 안전자산인 달러로 환전하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현재 달러는 1440원까지 상승 후 1280원까지 하락한 상황이며 단기 하락 추세를 뚫고 상방으로 올라온 상황입니다.
2000년 닷컴 버블, 2008 글로벌 경제위기와 같은 과거의 불경기 때에는 1500원대 혹은 1800원대까지 상승한 적도 있었기에 이번 경제 침체는 규모를 예측해 봤을 때는 1500원 이상까지 상승이 가능하지 않을까 보고 있습니다.
경기는 빠르게 호전될 상황이 아니면 점점 악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달러는 단기 저점을 형성해줬기 때문에 현재는 추가적인 상승을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 후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암호화폐 시장 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ve(웨이브 코인) 의 미래 주가방향 (0) | 2022.12.26 |
---|---|
2022년 비트코인 연말 알트 장세, 펌핑 가능한 국내코인? (0) | 2022.12.25 |
현재가 16000달러 비트코인 장세 여러가지 블록체인 악재들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