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시장 상황

2022년 비트코인 연말 알트 장세, 펌핑 가능한 국내코인?

반응형

며칠 전 비트코인이 16000달러(16K)로 횡보장이 이어지면서 단기 상승 후에 하락이나 바로 하락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아무래도 비트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알트들이 대부분이다 보니깐 알트들도 하락 후 회보의 움직임을 많이 보여주고 있고 몇몇 상승하는 종목들도 있지만 확률적으로 알트에 투자를 할 경우 익절 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

업비트 사이트에서는 금일 메탈 포함해서 8가지의 종목만 상승, 나머지는 동일가 혹은 다 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먼저 메탈코인의 일봉차트를 보겠습니다.

업비트 사이트 메탈코인 일봉차트

대부분의 코인이 가격조정을 받았지만 메탈은 오늘 상승을 했습니다. 여기서 일부 사람들은 상승했으니 올라가겠지? 라고 생각해 위에서 추격매수나 고점에서 매수하는 사람은 없기를 바랍니다. 위에 나온 화살표대로 흘러가다가 수렴추세를 하방으로 깨고 내려갈 것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의 차트가 비슷하며 큰 차이가 없습니다.



가격차트의 움직임


1. 차트는 하방수렴을 하는 차트 :
우하향을 하며 가격이 낮아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하방수렴의 상단을 뚫는 거대한 장대양봉과 매수세가 붙어야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그렇게 되기가 힘들어 보입니다.

2. 윗 꼬리가 길게 달린 차트 : 상승 후 지지해주는 패턴이 아닌 바로 가격이 떨어지며 윗 꼬리를 길게 달아주거나 상승 후 지지를 못하고 음봉이 연속발생하며 가격이 돌아가는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세력의 매집구간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매집기간이 충분하지 않고 여러 상황을 보았을 때 가격을 상승시키기에 매우 불리한 조건입니다.

3. 저항선으로 작용하는 60일선(빨간색): 현재 저항구간은 1070원 구간과 그 바로 위로 저항선인 60일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60일 이동선을 뚫지 못한 채 계속 저항 맞으며 가격이 떨어졌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뚫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4. 역배열 상태인 장기이동평균선: 순서대로 60일선(빨간색), 200일선(보라색), 300일선(자주색)으로 장기이평선이 역배열된 상태이며, 이는 곧 장기적인 하락추세가 유지가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장기이평선이 역배열에서 정배열 상태로 변하려는 움직임이나 장기 이평선의 기울기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 상승의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추세는 하락추세입니다.

가격차트 외 움직임


비트코인의 점유율과 계속 떨어지는 알트코인 시가총액
전 글에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상승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https://wbfprhs1-14.tistory.com/9

 

비트코인의 도미넌스와 의미와 알트코인과의 관계

암호화폐의 가격차트를 보여 움직임을 살피다 보면 비트코인 도미넌스를 참고하여 시장상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무엇이고 알트코인과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움직이는

wbfprhs1-14.tistory.com


그 후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42%에 도달하여 하락하지 않고 유지 중이며 이는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껴 비트코인으로 자금이 몰리는 이유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 알트코인에 순환돼야 될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밀리면서 전체 알트코인에 투자된 투자금들이 빠지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알트코인 시가총액 차트


알트코인에서 돈은 자꾸 빠져나가고 있으며 돈이 빠져나간다 = 가격이 하락한다 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금이 자꾸 빠져나가는데 많은 양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는 이상 가격이 오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바이낸스에 보면 업비트에 비해 상장되어있는 알트코인의 수가 더 많고 상승하고 있는 코인도 몇 종목 볼 수 있으나
단기 움직임을 분석해서 수익을 낸다는 보장이 없다면 당분간은 현금 보유하고 있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꼭 하셔야겠다면 스윙매매보다는 단타매매로 짧게 수익 보고 나오는 매매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알트에 자금이 순환하고 얼어있는 움직임에 폭이 커지면 알트코인을 분석해 움직임방향에 대해 제 관점을 공유해 보겠습니다.


※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의 선택의 몫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반응형